분류 전체보기143 LG전자 유해물질관리지침 13판 다운로드 방법 안녕하세요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LG전자와 거래하고 있어 관련내용에 대하여 블로그를 작성하려고 합니다.제가 근무할 때 거래를 시작했는데 아무것도 없이 맨땅에 헤딩~~ 아무것도 안 가르쳐 줍니다.물론 각 담당자들이 너무 바쁘니 무엇인가를 설명해 줄 시간이 없는 듯한데 참 답답했습니다.하나하나 정리해볼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LG전자에는 납품하는 제품에 대한 "제품 유해물질 관리 운영 지침"이 있습니다.이것을 다운받아 본다면 왜 업무 중에 유해물질 관련 연관된 업무에 대하여 왜 요청하는지 종류를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추가적으로 추후 문제가 될 수 있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리콜을 받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운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탭1) https://www.lg.com/global/ .. 2024. 7. 22. 일상 생활 속 폐건전지 올바르게 처리하기 오늘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AA건전지와 AAA건전지 폐기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건전지를 그냥 쓰레기통이나 분리수거함에 버리곤 하지만, 이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건전지는 일반쓰레기나 일반 분리수거로 처리할 수 없습니다. 폐건전지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건전지 폐기 방법우선, 건전지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건전지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이나 물건을 폐기할 때에도 반드시 건전지를 분리해서 처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은 노력이 우리 환경을 지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쓰는 건전지는 대부분 AA건전지입니다. 특히 니켈카드뮴(Ni-Cd) 전지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카드뮴이라는 물질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다뤄야 합니다. 최근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주로 사용.. 2024. 7. 21. 일회용 건전지 지속성능차이 8.6배 안녕하세요일회용 건전지의 지속성능차이 8.6배나 차이가 있다고 하여 차근차근 확인해보겠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발표한 건전지 품질 비교 시험 결과는 소비자들이 건전지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시험평가는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안전성, 경제성 및 환경성, 표시사항 등 다양한 항목을 통해 건전지의 성능을 평가하였습니다 .품질 평가: 지속시간과 성능건전지의 지속시간은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저부하와 중부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저부하에서는 디지털 오디오나 무선 기기와 같은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며, 중부하에서는 휴대용 전등이나 장난감과 같은 중간 정도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번 시험평가에서는 저부하와.. 2024. 7. 21. 프탈레이트(phthalates)의 유해성과 대체재 현황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화학물질인 프탈레이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프탈레이트의 유해성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대체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어떤 물질이고 왜 유해한지, 그리고 어떤 대체재가 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프탈레이트 (phthalates) 란 무엇인가?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주로 PVC 생산에 이용되며, PVC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들에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 바닥재, 샴푸, 화장품, 식품용기 등이 모두 프탈레이트가 포함된 제품들입니다. 매해 전 세계적으로 110억 파운드 이상의 프탈레이트가 생산될 정도로 그 사용 범위가 광범위합니다.. 2024. 7. 21. 알고 마시자 ~ 커피의 유해물질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사랑하는 커피 속에 들어있는 아크릴아마이드라는 화학물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 중 하나인데요, 그 속에 숨겨진 위험 요소인 아크릴아마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아크릴아마이드란 무엇인가요?아크릴아마이드는 주로 고온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생성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과 당류가 고온에서 반응하면서 형성됩니다. 커피뿐만 아니라 감자칩, 빵, 시리얼 등 다양한 가공식품에서도 발견되며,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크릴아마이드의 화학식은 C3H5NO이며, CAS 번호는 79-06-1입니다. 아크릴아마이드의 발생 과정커피 원두를 볶는 과정에.. 2024. 7. 20. 콘택트렌즈 세정액 관련 안전 주의사항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많은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바로 콘택트렌즈 세정액에 대한 안전 주의사항인데요,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콘택트렌즈 세정액의 중요성콘택트렌즈는 시력을 보정하거나 미용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죠. 이때 콘택트렌즈의 세척과 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세정액은 꼭 필요한 필수 용품입니다. 하지만 일부 제품에서 미생물 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어떤 제품들이 문제가 있었는지 살펴볼까요?미생물 기준 초과 제품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콘택트렌즈 세정액을 대상으로 미생물 시험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제품에서 총 호기성미생물 수가 기준을 초과해 검출되었습니다. 아래는 그 리스트입니다: .. 2024. 7. 2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