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해물질/그외10

치약속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 치약 속 성분에 대해 한 번쯤 궁금해하신 적이 있나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치약에 포함된 라우릴황산나트륨(SLS)은 주로 거품을 생성하고 세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성분은 치약뿐만 아니라 샴푸, 세정제 등 다양한 제품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입안을 청결히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하지만, 과일을 섭취하거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주의가 필요한 성분이기도 합니다.오늘은 라우릴황산나트륨의 정의, 장점과 부작용, 그리고 이 성분과 관련된 일상적인 궁금증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라우릴황산나트륨(SLS)란?라우릴황산나트륨은 물과 기름을 결합시키는 성질로 인해 세정력과 거품 생성을 돕는 계면활성제입니다. 치약 속 SLS는 입안을 구석구석 청결하게 세척하고, 풍성한 거품을 통해 치아와 잇몸 사이에 .. 2024. 11. 12.
“종이 빨대, 플라스틱보다 유해 물질 더 많이 배출” 생산부터 사용, 폐기까지 전 과정상 종이 빨대에서 생기는 일부 유해 물질량이 플라스틱 빨대보다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일회용품 저감 정책 통계 작성 및 관리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펄프에서 생산되는 원료로 만들어진 종이 빨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원류나 천연가스 기반의 플라스틱 빨대보다 많았다. 환경 컨설팅 업체 에코윌플러스와 안양대 산학 협력단이 작성한 보고서다.보고서에서 주요 연구 동향으로 소개된 ‘빨대 종류별 폐기물 처리 방법에 따른 환경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5억개 사용(미국의 1일 소비량)을 가정할 때 매립과 소각 모두 어떤 방법을 쓰든 종이 빨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플라스틱 빨대보다 많았다. 매립 시 종이 빨대의 .. 2024. 9. 5.
아질산 나트륨: 보존과 위험의 두 얼굴 아질산 나트륨(sodium nitrite)은 우리 일상 속에서 종종 접하는 식품첨가물 중 하나입니다. 주로 가공육 제품, 특히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의 보존제와 발색제로 널리 사용되며, 그 역할은 가공식품을 오래 보존하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질산 나트륨의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질산 나트륨이 무엇인지, 왜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 위험성과 유해성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아질산 나트륨이란 무엇인가요?아질산 나트륨은 화학식 NaNO₂로 표기되며, 흰색의 결정 형태를 가진 물질입니다. 물에 잘 녹고, 자연계에서도 다양한 식물에 존재합니다.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무 등에도 자연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우리는 주로 가공육을 통해 아질산 나트륨을.. 2024. 8. 31.
비스페놀 A 안전한가?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는 플라스틱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 화합물로, 화학식 C₁₅H₁₆O₂를 가지며, 무색의 고체 상태입니다.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과 에폭시 수지의 주요 원료로 활용되며, 이는 제품의 투명성과 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스페놀 A는 전 세계의 산업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스페놀A 의 사용용도비스페놀 A의 주요 용도는 식품 및 음료 용기에 있습니다. BPA는 플라스틱 물병, 식품 보관 용기, 캔 내부 코팅 등에서 발견됩니다. 이 화합물은 제품에 내구성과 강도를 제공하여, 일상적인 사용 중에도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비스페놀 A는 치과 재료에서도 사용됩니다. 치과용 실런트와 복합 재료에 포함되어, 치아 보호와 수리 작업을 .. 2024. 8. 11.
유해화학물질 관련 용어 정리 유해화학물질의 안전한 관리와 적절한 대응을 위해 관련 용어의 정확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유해화학물질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드려요1. CAS 번호 (Chemical Abstracts Service Registry Number)CAS 번호는 Chemical Abstracts Service에서 부여하는 고유 식별 번호입니다. 이 번호는 최대 10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며, 하이픈을 통해 세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CAS 번호는 화학물질의 명명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국제적으로 화학물질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2. UN 번호 (United Nations Number)UN 번호는 유해물질의 국제적 운송을 위한 분류 번호입니다. 4자리 숫자로 구성되며, 'UN' 뒤에 숫.. 2024. 8. 8.
카드뮴(Cd)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 및 주요 규제 현황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물질중 카드뮴(Cd)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카드뮴(Cd)은 주기율표에서 원자번호 48번에 위치한 금속 원소로, 자연에서도 발견되지만 주로 산업 활동을 통해 환경에 방출됩니다. 이 글에서는 카드뮴의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카드뮴의 유해성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카드뮴의 특성과 주요 사용처카드뮴은 영어로 cadmium, 화학 원소로 기호는 Cd, ​원자 번호는 48으로 무르고 청백색의 독성이 있는 전이 금속으로 ​아연 광석에서 산출되며 은백색의 부드럽고 가단성이 높은 금속으로, 주로 니켈-카드뮴 배터리, 도금, 안료, 합금 등에 사용됩니다. 카드뮴은 사용되는 과정에서 환경으로 유출되기 쉬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 유.. 2024. 7.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