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안전생활

생활 속 여성암 예방은?...유해화학물질 피해야

by 구리굴개 2024. 11. 12.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공개한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를 살펴보면 여성 암 발생 순위로 유방암(21.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갑상선암(19.8%), 대장암(10.2%), 폐암(7.8%)이 그 뒤를 이었다.

여성들은 화장품, 생리대, 조리기구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의 노출로 암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최근 조리기구, 프라이팬 코팅 등 생활용품에 많이 쓰이고 있는 과불화화합물이 갑상선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는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새롭게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과불화옥탄산(PFOA,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이 생리대에서도 검출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갑상선암은 전체 환자 중 80%가 여성이라고 알려진 만큼 여성에게 잘 생기는 암이다. 갑상선암 예방을 위해 생리대 등 여성용품이나 조리기구 등 생활 속 유해물질이 없는 제품을 사용해 과불화화합물의 노출을 피해야 한다. 또 상품에 과불화화합물 FREE가 표시되거나 미검출된 제품을 고르는 것도 생활의 지혜다.

최근 유기농 생리대 브랜드 오드리선은 ‘오드리선 TCF 더블코어 생리대’를 대상으로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등 주요 6종의 과불화화합물 검사를 시행했으며, 그 결과 해당 제품에서는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국내 여성암 중 발병률이 가장 높은 유방암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왔다. 유방암의 주요 원인으로는 비만, 음주, 흡연, 식이 등 생활 습관이 큰 영향을 미친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으로 유방암 발병률을 낮추고 발병 시 전이를 막을 수 있다.

폐암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지만, 요리를 자주 하는 여성의 경우 부엌에서 음식을 할 때 발생하는 ‘조리 매연’을 조심해야 한다. 조리 매연은 조리 시 기름을 고온으로 끓일 때 산화하며 나온 발암성 물질이 연기와 섞인 것으로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음식 조리 시 마스크를 쓰고 자주 환기하면 폐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https://www.beyondpost.co.kr/view.php?ud=20241108083639479146a9e4dd7f_30

 

생활 속 여성암 예방은?...유해화학물질 피해야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공개한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를 살펴보면 여성 암 발생 순위로 유방암(21.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갑상선암(19.8%), 대장암(10.2%), 폐암(7.8%)이 그 뒤

www.beyondpost.co.kr

 

과불화합물이란?

https://dae-y.tistory.com/entry/%EC%84%AC%EC%9C%A0%EC%97%90%EC%84%9C-%EC%82%AC%EC%9A%A9%EB%90%98%EB%8A%94-%EA%B3%BC%EB%B6%88%ED%99%94%ED%95%A9%EB%AC%BC-PFAS

 

섬유에서 사용되는 과불화합물 (PFAS)

[요약] 과불화합물(PFCs)은 방수 및 방오 특성 때문에 섬유 제품에 널리 사용되지만, 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인체와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과불화합물로 퍼플루오로옥

dae-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