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열변형 온도(HDT) 및 비캇연화점 시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관련 있어 도움이 될까 하여 올려드립니다.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는 고분자 재료의 유리전이온도(Tg)와 열변형온도(HDT) 분석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재료 특성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리전이온도와 열변형 온도 분석의 중요성과 이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시험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유리전이온도(Tg) 분석
유리전이온도(Tg)는 고분자 재료의 중요한 열적 특성 중 하나로, 재료의 물리적 상태가 변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Tg 이하에서는 재료가 유리처럼 깨지기 쉬운 특성을 보이며, Tg 이상에서는 고무처럼 탄성적인 특성을 나타냅니다.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확한 Tg 분석을 제공합니다.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는 고분자 재료의 Tg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시료의 열적 변화를 감지하여 유리전이온도를 확인합니다. DSC 분석은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아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분자량이 낮거나 구조가 강직한 고분자의 경우 Tg 검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적용규정: DSC: KS M ISO 11357-2, ASTM D3418
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는 온도뿐만 아니라 주파수 변화를 통해 시료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합니다. 이 방법은 DSC보다 높은 감도로 Tg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특수한 화학구조를 가진 고분자나 강직한 구조를 가진 고분자에 유용합니다. 적
적용규정: KS M ISO 6721-11, ASTM D7028
TMA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는 시료에 미세한 기계적 변형을 가해 Tg를 측정합니다. 이 방법 역시 높은 감도를 자랑하며, DSC로 검출이 어려운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적용규정: KS M ISO 11359-2, ASTM E831
열변형온도(HDT) 및 비캇연화점(VSP) 분석
열변형온도(HDT)와 비캇연화점(VSP)은 고분자 재료의 열적 성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HDT는 일정 부하 하에서 시료가 변형되는 온도를, VSP는 일정 하중 하에서 시료가 연화되는 온도를 측정합니다.
열변형온도 (HDT)
HDT는 0.45 MPa 또는 1.8 MPa의 부하 하에서 시료가 0.25 mm 변형될 때의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재료의 내열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적용규정: ASTM D648, KS M ISO 75
비캇연화점 (VSP)
VSP는 일정 하중과 면적 하에서 시료가 1 mm 변형될 때의 온도를 측정합니다. 이 역시 재료의 열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용규정: ASTM D1525, KS M ISO 306
상담 및 분석 요청은 홈페이지(www.polymer.co.kr) 또는 전화(1588-1574)로 연락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린다고 합니다.

'시험규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매일 맡는 향기의 비밀, 과학으로 풀어보다! - VOCs 분석의 세계 (0) | 2025.04.27 |
---|---|
무기원소 시험관련 (0) | 2024.09.10 |
유기 탄소의 함량을 측정(TOC), 표면오염분석 (0) | 2024.08.17 |
고분자 소재의 표면 특성, 어떻게 분석할까? (0) | 2024.08.14 |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 시험의뢰 (0) | 2024.07.30 |